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7)
동적계획법 @동적계획법이란? 다이나믹 프로그래밍(Dynamic Programming), 즉 동적 계획법은 문제를 풀기 위한 한 방법으로 큰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문제로 나눈 다음 그 결과를 저장해둔 다음 이를 큰 문제 해결에 이용하는 것이다.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쓸데없는 반복을 없애 실행시간을 확실하게 단축 시킨다는 점이다.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, 1.전체 문제를 작은 문제로 단순화한다. 2.점화식을 만든다. 3.만든 점화식을 재귀적으로 이용해서 해결한다.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프로그램을 짤 때 여러번 쓰일 기능을 편하게 쓰기위해 함수화 시켜놓는 방법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. 함수화 시킴으로 다시 만들지 않아도 되며 이를 통해 많은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. @피보나치 수열? 왜 DP를 사용하는 것인..
Oracle 12c 이후 버전 CDB, PDB에 대해서 사담: 제가 CDB,PDB에 대해 공부하게 된 이유는 전에 11g를 사용해서 게시판을 만들다가 이번에 다시 만드려고 12c를 다운 받아 사용하는데 앞에 개념들이 추가되서 스프링에 연결하는데 고생해서 앞으로 사용할때 이해가 필요할 것 같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. Oracle이 11g 에서 12c로 넘어가면서 Multitenant라는 개념이 생겼다. 이는 데이터베이스를 클라우드에 맞춰 설계했다고 Oracle에서 발표했다. @CDB와 PDB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을까? 바뀐 Oracle 12c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CDB(Container Database)와 PDB(Pluggable Database)다. 먼저 구조를 살펴보자. 위 사진을 보면 CDB$ROOT가 인스턴스를 담당하고 있으며 이 CDB에 필요에 따라..
Oracle DB 연결 문제 새로운 게시판을 만들기 위해서 기존에 다운로드 했던 sql developer를 통해 새 DB를 생성해서 연결해주어야 했다. 그러나 오랜만에 새로운 DB를 만드려는데 밑에와 같은 오류가 나왔다.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오류는 주로 두가지 원인에서 발생한다고 한다. 1.정보 기입 오류: Hostname, Port, Username 그리고 password를 정확히 입력하지 않았을 때 발생한다. 2.서비스 장애: (1)관리자용 서비스인 리스너(listener)가 작동 하고 있지 않으면 연결 불가능하다. 주로 2번 항목에서 listener가 작동하지 않고 있거나 listener.ora에 정보가 기입이 이상하게 되어 있을 때 발생한다. 즉 ..